본문 바로가기

mbti

거침없이 하이킥 등장인물 MBTI 추측, 드라마 캐릭터 MBTI

역대 모든 시트콤 중에 내가 가장 사랑하는 거침없이 하이킥. mbti 덕후인 나는 거침없이 하이킥 등장인물 mbti 추측 궁예를 해보려고 한다. 정답은 없지만 MBTI 과몰입러로서 어느 정도는 내 예측이 맞을 거라 확신한다. 물론 반박은 받습니다! 

재미로만 봐주세요 :)

 

 

거침없이 하이킥 등장인물 MBTI

 

 

거침없이 하이킥 가족사진
MBC 거침없이 하이킥 등장인물 MBTI

 

 

이순재 ESTJ

나문희 ISFP

이준하 ESFP

박해미 ENTJ

이민용 ISTP

이윤호 ESTP

이민호 ISFJ

서민정 INFP

신지 ESTP

강유미 ENTP

김범 ESFJ

 

 

하이킥 이순재 사진
ESTJ 캐릭터 - 이순재

 

이순재 - ESTJ

이순재는 전형적인 ESTJ 꼰대로 보임. 이순재 캐릭터는 진짜 젊었을 때랑 나이 들었을 때랑 너무 다름.. 아니 물론 사람이 나이가 들고 아저씨가 되고 할아버지가 되면 성격이 바뀌겠지만,, 너무 정반대로 바뀐 것 같음(ㅋㅋ) 삶에 찌들면 어쩔 수 없나? 난 근데 이런 클리셰 싫어하는 게, 응답하라 1988도 그렇고 젊었을 때, 연애했을 때는 그렇게 다정하고 사랑 많던 양반이 나이 들면 개꼰대 아재 할아버지가 된다는 게ㅋㅋㅋㅋㅋ..... 아니 다른 건 다 바뀌어도 아내한테 하는 스텐스는 그대로면 안됩니까? 아무튼 뭐 이순재 캐릭터는 전형적인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인 할아버지임. 위계질서 중시하고 전통적인 가치관과 마인드.. 하지만 사람에 대한 정은 많고 따스운 면도 있음. 

 

E - 가족들끼리 똘똘 뭉쳐서 모임 갖는 것을 좋아하고, 친목을 좋아함. 이순재 고사인지 뭔지를 열기도 하고.. 대놓고 관       심 받는 거 매우 좋아하심. 할아버지라 텐션이 높지는 않으나, 연세에 비해 아직도 기력이 짱짱하시고 에너지가 많으신         걸로 보아 극 E가 맞는 듯합니다.

S- 이순재가 상상을 꽤 한다고 해서 N이라고 착각할 수도 있는데, 이순재의 상상은 보통 현실기반된 상상임. 극 N 유형이        하는 비현실적인 상상하고는 거리가 멀음. S라고 해서 상상 안 하는 거 아님! 

T- 팩폭 잘하고 약간 공감능력 없고.. 딱 봐도 F는 아니지 않나? BUT 젊었을 때 순재도련님은 극 F였을 거임(ㅜㅜ) 

J-상황대처능력 꽝. 융통성 꽝. 

 

 

 

 

 

 

 

하이킥 나문희 사진
ISFP 캐릭터 - 나문희

 

나문희 - ISFP

내가 제일 애정하는 캐릭터 나문희 여사님. 근데 하이킥은 참 캐릭터들이 입체적인 게 다 어느 정도 미운구석이 있고 정가는 구석이 있음ㅋㅋ 나문희 여사님은 확신의 ISFP라고 보이는데 ISFP 특유의 겸손하고 따뜻한 마음씨가 그대로 보임. 반면에 약간 소심하고 잘 삐지는 것도ㅋㅋ

I- 사실 문희짱은  E라기엔 그렇게 활발한 텐션은 아님. 자신의 영역 안에 있는 사람들을 챙기고 보살피는 것을 좋아하지만     그 외 사람들에게는 굳이 관심 없는 것으로 보임. 그냥 나문희 여사의 유일한 친구인 개성댁이나 영기엄마랑 도란도란     수다 떠는 것만 좋아하시고.. 딱히 사람들하고 어울리면서 에너지를 받는 스타일은 아님. 

S- 극 S일 듯. 근데 이 정도 나이되시는 할머니 할아버지 중에 극 N 자체가 별로 없을 듯.

F- 극 F. 눈물이 많고 감성적이다. 잘 삐지기도 하고 서운함을 잘 느낌. 공감능력도 높아 보이고 엄청 따스운 할머니

P- 그냥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물 흐르듯이 사시는 타입~ 모든 상황에 유연하게 반응함. 상황대처능력도 좋은 편

 

 

하이킥 정준하 사진
ESFP 캐릭터 - 이준하(정준하)

 

이준하(정준하) - ESFP

정준하 실제 성격이랑 캐릭터 싱크로율이 상당히 높을 것이라고 예상함.. 실제로 정준하 MBTI 또한 ESFP라고 함.

ESFP 특유의 사람 좋아하고 친화력 좋고 적응력 좋고..! 근데 사실 이준하 씨는 어떤 환경에서든 삼시 세끼만 제때제때 주면 잘 적응하실 것 같음. 

 

E- 음.. 사실 이준하는 극 중에서 백수일 때가 많았어서ㅋㅋㅋㅋㅋㅋㅋ밖에 나가는 에피소드가 많지 않음. 이준하 하면 그냥 집 소파에 누워서 뒹굴뒹굴 뭐 먹고 있는 이미지가 강함. 근데 그건 상황적 여건 때문에 그런 것 같고.. 준하 씨는 사람을 굉장히 좋아하고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임. 박해미 좋다고 그렇게 모르는 사람한테 막 세레나데 부르고 그러는 것만 봐도.. 음 E가 맞아 보임. 친화력도 좋고!

S- 이준하는 극극극S임. S가 감각형이잖음? 이준하는 오감이 굉장히 발달되어 있음. ㅅ.. 식욕......(죄송합니다)

F- 공감능력 뛰어남. 유일하게 윤호의 마음을 알아주는 가족. 음 이준하한테 이성적인 면은 거의 없는 듯 

P- 굳이 설명필요 없을 듯

 

 

 

 

 

 

 

하이킥 박해미 사진
ENTJ 캐릭터 - 박해미

 

 

박해미 - ENTJ

entj의 정석. entj 최대 아웃풋 박해미!

estj라 혼동하기 쉬우나 엣티제라기엔.... 박해미가 일할 때는 굉장히 프로페셔널하고 멋있지만, 어딘가 엉뚱한 면이 있잖음? 이민용하고 유치한 싸움을 한다던가, 강도하고 대면했을 때 장난감 총을 쏜다던가.. 그런 모습을 보았을 때 ESTJ보다는 ENTJ에 가깝다고 느꼈음. 

 

E - 극 E~ 어딜 가나 당당하고 외향적이고 누구 하고나 친화력 있게 잘 어울림. 많은 사람들 앞에서 나서는 것도 좋아함.

     천상 리더 타입

N - S라기엔 막 그렇게 현실적이지는 않은 것 같음. 특히 이민용이랑 싸울 때, 정말 어린애들처럼 싸우는데ㅋㅋㅋ NT특유        의  약간 괴짜스럽고 똑똑해 보이는데 엉뚱한 면이 보임. 그리고 이준하랑 결혼한 것도 전 남자 친구에 대한 복수 때문이라고  하는데.. 음 생각하는 발상 자체가 굉장히 독특하심.  

T - 진짜 T 그 자체. 모든 일에 감성보다는 이성이 앞서는 사람

J - 찐 찐 찐 J! 어떤 행동을 할 때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 오천번 돌리고 시작하실 듯. 그리고 하루 일과도 분단위로 계획하실 것 같음. 

 

 

 

하이킥 이민용 사진
ISTP 캐릭터 - 이민용

 

이민용 - ISTP

이민용도 진짜 성격이 너무 뚜렷한 인물이다. ISTP는 전형적인 박명수 유형이라고 많이 알려져 있는데 박명수랑 이민용이랑 느낌이 많이 비슷하지 않음?ㅋㅋ 항상 어딘가 모르게 무기력해 보이고 피곤해 보이는데, 또 뭐 시키면 안 빼고 잘함ㅋㅋ

말은 조금 공격적일 수 있어도 사실은 굉장히 츤데레

 

I - 사람들하고 있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고, 약간 아웃사이더 기질 있음. 혼자 누워서 쉬는 것을 좋아하고, 자신의 영역 밖에 사람들에게 관심이 없음.

S - 망상이나 몽상과는 거리가 매우 멀음. 굉장히 현실적이고 단순한 편

T- 굳이 설명이 필요할까? 감정적이고 감성적인 부분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됨. 굉장한 츤데레고 이성적인 편

P- 무언가를 할 때 딱딱 계획을 맞추고 하는 스타일은 아니고 융통성 있게 물 흐르는 대로 사는 편.

 

 

 

 

하이킥 정일우 사진
ESTP 캐릭터 - 이윤호(정일우)

 

이윤호 - ESTP

내가 짝사랑하는 이윤호.. 그 시절 이윤호 안 좋아했던 사람 있었나? 진짜 하이킥에서 보면 볼수록 이윤호가 제일 정상임ㅋ

다들 비정상적인 구석이 있는데 이윤호는 사실 그렇게 비정상인 부분이 없음. 단점이라면 약간 반항적인 거? 근데 그것도 칭찬 많이 해주면 별로 반항적인 것도 아님. 개념은 있어서 선은 절대 안 넘잖아. 윤호도 성격이 뚜렷해서 ESTP 그 자체라고 보임. ESTP 같은 경우 쾌남 쾌녀들이 많은 유형임. 그만큼 뒤끝이 별로 없고 쿨함. 딱 이윤호 아닌가?

 

E- 윤호는 극 중에서 친구가 거의 황찬성? 밖에 없고 거의 혼자 다니는 듯한 느낌인데, 진짜 자발적 아싸 느낌ㅋ

    근데 그렇다고 윤호가 I는 아닌 것 같음. 낯가림도 거의 없고, 그냥 귀찮아서 안 하는 것뿐이지  사실 인싸잖아..

S- 극 S! 윤호가 하는 유일한 상상은 자신의 원하는 미래에 대한 상상. 그런 건 S도 다 한다고요~

T- 극 T인간이다 이런 건 아닌 것 같음. 약간 츤데레고 감정표현에 서툴러서 그렇지 공감능력은 되게 높아 보임. 그래도 약      간 세상에 대한 반항끼나 막 감성적인 부분은 거의 없어서 검사하면 T 나오실 듯.

P- 찐 P. 상황대처능력 좋아 보이고 모든 상황에 되게 즉흥적으로 유연하게 반응함. 

 

 

하이킥 김혜성 불꽃카리스마
ISFJ 캐릭터 - 이민호(김혜성)

 

이민호 - ISFJ

되게 단짠단짠의 캐릭터ㅋㅋㅋ민호 보면 불꽃카리스마밖에 생각이 안 난다.. ISFJ는 굉장히 성실하고 계획적이고 열심히 사는 유형이다. 공부를 굉장히 잘하고 성실하고 바르고 똑 부러진 민호에게 찰떡으로 잘 어울리는 ISFJ! 

 

I - 약간 소심하고 내성적인 편으로 보임. 

- 굉장히 현실적인 편. 이상적이랑은 거리가 멀음. 

- 기본적으로 공감능력 높아 보임. ISFJ 자체가 F유형 중에 가장 T유형으로 알려져 있는데 딱 맞는 것 같음. 이성적인 판단보다는 감성이 많이 앞서는 모습을 많이 보임. 

J - 모든 일에 뛰어들 때 리스크 같은 거 하나하나 따지고 하는 타입. 에라 모르겠다 그냥 한번 해보자! 이런 타입은 절대 아       니란거ㅇㅇ

 

 

하이킥 서민정 사진
INFP 캐릭터 - 서민정

 

서민정 - INFP

 

서민정은 무조건 확신의 인프피 그 자체ㅇㅇ 개인적으로 인프피를 애정하는 사람으로서 서민정 캐릭터 보면 볼수록 너무 INFP 같다고 느꼈음. 인프피 특유의 엉뚱하고 순수하고 귀여운.. 그렇지만 단점으로는 약간 답답하지..

되게 아이같기도 하고, 어디 저기 별 나라에서 온 것 같은 엉뚱함도 있고, 근데 또 할 말은 하고..! 

 

I - 밝은 모습에서 E라고 오해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은데 그녀는 확신의 I임. I도 밝고 활발할 수 있다고요(ㅠㅠ)

    근데 그렇다고 서민정이 극 중에서 막 외향적인 스타일은 아니잖음? 사람들 앞에 잘 못 나서고 내성적인 편임. 학창 시        절에도 친구가 없어서 항상 혼자였다는 설정.

N- 굉장히 엉뚱한 사고방식과 발상. 현실적인 편보다는 이상적이고 잡생각이 굉장히 많아 보임. 다이어리를 꾸준히 쓰는          설정마저 INFP스러워..

F- 공감능력 높고 따뜻한 사람. 유일하게 윤호를 편견 없이 바라봐주고 칭찬해 주고 당근 1000개 주는 사람.

P- P 특유의 그 어디로 튈지 모르는 불안정함 뭔지 알쥬? 

 

 

하이킥 신지 사진
ESTP 캐릭터 - 신지

 

신지 - ESTP 

신지 캐릭터는 사실 별로 정이 안감. 그건 그렇고 하이킥 때 신지 진짜 리즈인 듯... 너무 예쁨. 사실 별로 좋아하는 캐릭터는 아니라 딱히 부연설명은 하지 않겠음.  그렇게 애정을 가지고 지켜본 캐릭터는 아니라.. 

이민용하고 ISTP-ESTP로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음. 서로 비슷하다 보니까 많이 부닥치고, 누구 하나 자존심 안 굽히는 느낌. 신지도 ESTP 특유의 쾌녀느낌 있음. BUT 자존심이 굉장히 셉니다.. 자존심으로 먹고 사실 분 

 

 

 

 

하이킥 박민영 사진
ENTP 캐릭터 - 강유미(박민영)

 

강유미 - ENTP 

너무 예쁜 강유미!! 약간 설정이 무리수인 감이 없지 않아 있는데, 너무 예뻐서 다 용서가 됨. 유미는 ESTP랑 약간 헷갈렸는데, 말하는 거에서 N특유의 엉뚱하고 괴상한 단어선택들이 많아서 ENTP를 선택했음. 그리고 ENTP가 자기애 맥스에 약간 나르시시즘 있는 유형인데, 유미가 딱 그래 보임. 

 

 

하이킥 김범 사진
ESFJ 캐릭터 - 김범

 

 

김범 - ESFJ

사교적인 외교관 하숙범! 개인적으로 내가 굉장히 좋아하는 캐릭터임. 원래 비중이 그렇게 크지 않은 캐릭터였다가

배우 김범이 적극적으로 캐릭터에 대한 방향성이나 아이디어를 제시해서 굉장히 입체적이고 재밌는 캐릭터로 만들어졌다고 함. 근데 갑자기 생각났는데 범이 민호네 집에서 자고 가지는 않는 듯?ㅋㅋ 그래도 잠은 집에서 자는 것 같던데

 ESFJ는 굉장히 친화력이 좋고 이타적인 유형임. 단점으로는 오지랖이 넓음ㅋㅋㅋㅋ

 

E- 아무리 친한 친구라고 한들 친구네 집에서 거의 하숙을 하듯이 드나들고, 친화력 개굿... 김범이 E가 아니라면 누가 E임

S- 그냥 딱 봐도 망상이나 몽상과는 거리가 매우 멀어 보임. 나름 현실적인 편이고 팩폭도 잘 날리는 편

F- 공감능력도 높아 보이고, 정도 굉장히 많은 하숙범

J- 사실 범이는 P 하고 J 하고 굉장히 헷갈림. 어디에서나 유연하게 잘 적응하는 거 보면 P인 것 같기도 하고,, 그래도 뭔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 ESFP보다는 ESFJ가 어울려서ㅇㅇ

 

 

 

 

 

 

 

 


쓰다 보니까 과몰입해서 나 혼자 주절주절거린 것 같다. 암튼 다들 재미있게 읽어주셨으면 좋겠고,

다음엔 지붕 뚫고 하이킥 MBTI로 돌아오겠습니다!